개발을 하다보면 특정 초 지난 후 에 기능이 작동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할 때가 있다. 그러면 Delay를 줘야하는데 어떻게 줄 수 있을까? 두가지 방법이 있다. 1. Handler Handler(Looper.getMainLooper()).postDelayed({ // do something },1000) 하단에 있는 , 뒤에있는 숫자만큼 딜레이를 주고 중괄호 내부에 있는 코드를 실행시킨다. 1000은 1초를 의미한다. 2. LaunchEffect LaunchedEffect(Unit){ delay(1.seconds) // do something } delay 내부에 있는 시간만큼 시간이 지난 후 밑에있는 코드를 실행시킨다. Handler와 마찬가지로 1000을 적으면 1초가 되고, 위 예시처럼 1.se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