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Jetpack Compose 20

Android에서 Props Drilling을 해결해보자 with SnackBar

이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Props Drilling이라는 개념을 처음 들어보는 분들이 있을수도 있다.그래서 해당 개념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고, 내가 Android에서 어떻게 Props Drilling을 방지했는지 이야기 해보겠다.  Props Drilling이란?React에서 나온 개념이다.Prop Drilling 은 props를 오로지 하위 컴포넌트로 전달하는 용도로만 쓰이는 컴포넌트들을 거치면서 React Component 트리의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매개변수로 특정 값을 계속해서 내려주는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아래 예시를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Composablefun test1() { test2 { // SHOW ACTION }}..

AsyncImage를 Preview에서 보는 3가지 방법

Android 개발을 하다보면 URL 이미지를 화면에 나타내기 위해 라이브러리들을 주로 사용할 것이다. Glide, Coil 등등 다양한 라이브러리가 존재하고 이를 사용하다보면 Compose에서 불편한게 딱 하나 있다.  Preview에서 이미지 영역이 안나온다.물론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크기를 보고 대충 이미지가 저기 안에 들어가겠구나~ 생각할 수는 있지만, 앱을 실행하지 않고도 Preview에서 정확하게 테스트 하고 싶은 마음이 든다. 그렇기에 이를 해결하기위해 적용해본 3가지 방법을 공유하고자 한다. 제가 적용한 모든 방법은 Coil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아마... Glide도 될껄요...?  1. PlaceHolderCoil을 사용할 때 사용되는 AsyncImage의 속성을 사용했다. ..

[Android Compose] Scroll과 imePadding을 같이 쓰면 제대로 동작을 안한다구요?

문제상황Column에 ScrollState를 넣어주고, 내부에 TextField를 여러개 넣어뒀다.그 후 키보드 높이 조정을 위해 adjustResize 설정을 한 후 imePadding을 넣어줬지만,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문제 영상  정확히는 아래에 있는 TextField가 보일 정도로 올라오긴 하지만, 내가 원하는 만큼 더 위로 올라오진 않는다. 찾아보니 LazyColumn, Column에 verticalScroll을 넣어준다면 이런 오류가 존재한다는 것을 찾았다.https://issuetracker.google.com/issues/229628557 Google Issue Tracker issuetracker.google.com22년부터 이렇다는데 좀 고쳐주지 참...  뭐 구글이 이러는게 하루이..

분명히 텍스트 높이 지정했다니까요??? - Android Compose LineHeight Error

최근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100% Compose로 Android를 구현하였다.XML에서 하는 것 처럼 작업을 했지만, Compose에서는 다르다는 것을 깨달았던 LineHeight에 대해서 글을 써보려고 한다.   기존에 XML에서 코드를 작성했던 방식은 아래와 같다.ttf혹은 otf를 추가하고, 폰트 패밀리를 만들어준다.    그 후 value/appearance에서 아래와 같이 Text들의 설정을 해준다.색상, 폰트 패밀리, 텍스트 사이즈 등을 설정하고, paddingVertical을 활용하여 LineHeight를 지정해준다.   이렇게 XML에서 설정해봤었고, 비슷한 방법으로 Compose에서도 이번에 설정해보고자 했다.Compose로 구현하고자 레퍼런스로 DroidknightsApp과 sopt-a..

Jetpack Compose : Strong Skipping Mode

주의 사항 : Strong Skipping Mode는 현재 실험적이고 아직 프로덕션 용도로 사용될 준비가되지 않았습니다. Compose 1.7에서 활성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Strong Skipping ModeCompose Compiler 1.5.4 version에 추가된 실험적인 모드입니다.Strong Skipping Mode를 적용시킨다면 아래와 같은 두가지 방법으로 동작을 변경시킵니다.- 불안정한 매개변수가 있는 컴포저블을 안정화(skippable)하게 변경합니다.- 불안정한 Lambda는 remember를 적용시킵니다.skippable : 컴파일러가 컴포저블을 건너뛸 수 있음. 리컴포지션이 되지 않음  Composable skippability기본적으로 Compose 컴파일러는 Comp..

Android Jetpack Comopse의 CompositionLocal을 이해하고 써보자

왜 나온걸까?Composable 함수는 Tree구조를 가지고 있다.이때, 상태(state)는 일반적으로 최상단 노드에 저장이 되어있어야 한다(상태 호이스팅)상위 트리에서 만든 상태를 하위 트리에서 매개변수로 받는 것이 아닌, 바로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왜 최상단에 저장되어있어야 할까?컴포넌트들은 상태를 모르는게 좋다. 최상단에서 전달해준 정보를 바탕으로 화면을 나타내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상태를 컴포넌트 별로 다 가지고 있다면 이후 추적하는 것도 힘들고, 각각의 상태를 하나씩 참조하며 변경해줘야 하기 때문에 관리하기 더 어려워 진다. 그렇다면 상태가 최상단에 있고, 트리 개념으로 아래로 내려가는 UI 구조를 가진다고 했는데 “매번 변수로 state를 내려줘야..

[Jetpack Compose] Button 사용법의 모든것

Button 말 그대로 버튼을 화면에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된다. Button(onClick = { /*TODO*/ }) { Text(text = "Button") } 어우 많다. 하나씩 가보자. onClick 버튼을 클릭했을 때 발생시킬 액션이다. api를 호출시킬 수도 있고, Toast를 띄울 수도 있고 페이지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냥 버튼 클릭시 실행시키고 싶은 모든것을 넣으면 된다. enabled Button( onClick = { /*TODO*/ }, enabled = false ) { Text(text = "Button") } 버튼을 활성화시킬지 여부를 나타낸다. 기본값은 true이고, false로 설정하면 버튼이 클릭되지 않는다. 그럼 이건 어떨때 쓸까? 난 최근에 썼을때 입력받은 정보..

[Jetpack Compose] Text 사용법의 모든것

Text 말 그대로 텍스트를 화면에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된다. class MainActivity : ComponentActivity() {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 { SOPTComposeStudyTheme { Surface( modifier = Modifier.fillMaxSize(), color = MaterialTheme.colorScheme.background ) { Text(text = "Hello World!") } } } } } Text도 Composable 함수이기 때문에 매개변수들을 살펴보자.오… 많다. 하나씩 하나씩 뽀개보자. text..

[Jetpack Compose] LaunchedEffect란?

LaunchedEffect가 뭘까? 코루틴을 사용하기 위한 suspend function을 호출하기 위해 필요하다. 좀 더 쉽게 말하자면 중간에 멈추고자 하는 함수를 넣기 위해서 존재한다. 이게 무슨소린가 싶을거다. 이전에 내가 작성한 Delay함수 관련 글이 있다. 이것처럼 도중에 멈추고 싶을때 LaunchedEffect를 사용한다. https://naemamdaelo.tistory.com/entry/Jetpack-Compose-%08Delay-%EC%A3%BC%EB%8A%94-%EB%B0%A9%EB%B2%95 [Jetpack Compose] Delay 주는 방법 개발을 하다보면 특정 초 지난 후 에 기능이 작동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할 때가 있다. 그러면 Delay를 줘야하는데 어떻게 줄 수 있을까?..

[Jetpack Compose] local.properties에 값 숨기는 방

왜 숨겨야할까? 개발을 하다보면 외부 기능을 사용하고자 api연결을 위한 key를 발급받을 때가 있다. 무료인 기능도 있지만 부분유료, 유료인 상품들이 있다. 만약 내 Key가 유출되어 다른사람이 사용한다면 그 돈도 전부 내가 내야한다. 요즘 외국에서 매크로로 이런거 뽑아낸다더라... api key값이면 그나마 낫다고 쳐도 aws같은거는 진짜 조심해야한다. 그럼 아무데도 안올리면 되지않냐? 싶을 수도 있다. 물론 혼자서 개발할때는 괜찮다. 하지만 팀단위로 개발을 하게 되면 git을 사용할 것이다. private로 작성하면 상관이 없긴 하다. 그렇지만 public으로 공개를 하고자 할때는 값이 나타나면 안되기 때문에 숨겨야 한다. 어떻게 해야할까? 가장 먼저 설정해야 하는 것은 git의 gitign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