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3

5주차 네트워크 공부내용 정리

스니핑(Sniffing) 사전적 의미 : 코를 킁킁 거리다 => 상대방의 패킷 교환을 엿듣는것. 즉, 네트워크 트래픽 도청하는 과정 수동적(Passive) 공격 : 공격할때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충분. 왜? 자기가 뭔가 작업을 하면서 정보를 빼오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엿듣는것. 전화선이나 UTP에 탭핑(Tapping)해서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정보 찾아냄 탭핑(Tapping)이란? : 탭 이라는 도구를 통해 가공하는것. 즉 기계적인 방법을 통해 유선으로 데이터를 도청하는 것. 전기신호(Emanation)를 템페스트(Tempest) 장비를 이용해 분석하는 것 템페스트(Tempest)란? : 컴퓨터나 주변 기기에서 나오는 미약한 전자파에서 정보를 훔쳐내는 기술. 스니핑의 모드 정규모드(Normal Mode) ..

Network 2022.05.26

4주차 네트워크 공부내용 정리

Whois(후이즈) 1984년에 만들어진 도메인 확인, 도메인과 관련된 사람 및 인터넷 자원을 찾아 보기 위한 프로토콜 초기에는 와일드카드(*) 문자열로 관련 도메인 검색이 가능했으나, 인터넷이 상업화되고 스팸 메일이 증가함에 따라 기능 삭제 와일드 카드 문자 : 대략적인 값을 입력해서 값을 찾는 문자 ex) * : 문자열 어디에나 쓸 수 있음. wh*은 what, white, why등은 찾고, awhile, watch등은 안찾음 ? : 특정 위치에 있는 단일 알파벳과 일치. b?ll은 ball, bill, bell등을 찾음 [] : 대괄호 내의 문자와 일치한것들 찾음. b[ae]ll은 ball, bell을 찾음. ! : not의 역할. 대괄호 안에있는 문자 제외. b[!ae]ll 은 ball, bell..

Network 2022.05.21

3주차 네트워크 공부내용 정리

프로토콜 프로토콜 :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 메시지 전달 과정 프로토콜의 3대 요소 구문 : 데이터 구조, 포멧 => XML, JSON 의미 : 전송되는 데이터 각 부분의 의미를 알 수 있도록 미리 정해둔 규칙. 오류제어, 동기 제어, 흐름 제어를 포함 (제어들에 대한 설명은 잠시 뒤 나옴) 순서 : 어떤데이터를, 얼마나 빠르게 보낼것인지 정의 프로토콜의 기능 주소설정 : 서로 다른 시스템의 두 개체가 통신을 하는 경우 순서 제어 :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전송할 때 보내는 순서 명시하는 기능(연결지향형에서만 사용) /* 연결지향형? 통신 연결이 유지되는 것을 지향하는 프로토콜. 송신자와 수신자가 먼저 연결된 후 데이터가 전송. => 서로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어떤사람이 데이터를 보냈는지 연결을 통해 알수 ..

Network 2022.05.17